어? TGL쪽 이야기네?
정작 이번 주제가 되는 일러스터는 옛날옛적에 퇴사하긴 했지만 그런부분은 넘기고 이야기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다룰 주제는 '판타스틱 파랜드 -대지의 인연-'(이하 '대지의 인연')
만 입니다. 왜 다른 후속작이나 관련작은 다루질 않는냐고요? 모뎀이나 간신히 했던 시골에 살았던 상황도 있었지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접한 파랜드 시리즈물을 하면서 마지막 왕을 코앞에 두고 컴퓨터가 바이러스로 날라간 충격을 이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첫 접점.
게다가 '아법사가 되는 방법2'의 경우, 메인 일러스터가 누구인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므로 나중에나 다뤄봐야 겠네요.
야마모토 카즈에?
대지의 인연밖에 못해봤지만, 일러스트에서의 스타일이 좋아서 한동안 일러스터가 찾아 헤맨적이 있었습니다. 아직 구글링의 위력을 알기전이라 네이버, 야후, 팬싸이트를 들락거렸지만 소득이 전혀 없었습니다.
기껏해야 발매작별 그림체변천사정도?
나중에는 반쯤 잊고 반쯤 접어두던 참에 전혀 엉뚱한곳에서 답을 찾은게 아니겠습니까?
네. 아주 허무하게 찾아냈습니다.
'아사달'로 인수된 모 고전게임관련에서 찾았습니다.
판타스틱 파랜드 -대지의 인연-
한국에 정식발매될때 유통상 문제가 많았는지, 같은 시리즈끼리도 발매명이 이상하게 옮겨진것 같습니다. 다른 후속작을 건드리기 어렵게 만드는 장해물이기도 합니다.
'대지의 인연'은 아래와 같습니다.
파랜드 스토리5참고로, 파랜드 스토리 3~6이 야마모토 카즈에씨의 담당이 맞다고 합니다.
Farland Story 5 - Daichi no Kizuna
ファーランドストーリー 5:大地の絆
Fantastic Farland 대지의 인연
판타스틱 파랜드 -대지의 인연-
그림 스타일
어떤 느낌의 그림체인지 궁금하신가요?
내_기억속_어떤_왈패_세이렌.jpg
이 캐릭터는 게임초반에 동료로 들어오는 '위니아'라는 캐릭터입니다. 등에 날개가 날렸있지만, '천사'같은거 아닙니다. '보물사수'가 신조인 세이렙입니다.
그리스 로마신화의 '세이렌'만 알고 있던 초등학생에게 여러가지 이색적인 성격을 가긴 캐릭터였네요. 그렇다고 좋아하는 캐릭터가 '위니아'인건 아닙니다.
몸의 전체적인 형태를 살펴보면 만화 특유의 과장법으로 실제 인체의 등신대보다 작은편이나, 몸의 등신대를 지나치게 줄이지는 않습니다.
RPG라는 특성상 '지나치게 짧은 등신대 전신 일러스트'는 전투시 캐릭터가 아장아장 걸어다니고 아둥바둥거리는걸로 상상라게 만들수 있기 때문일겁니다.
RPG는 북유럽신화의 '전투와 생존'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게임내 전투가 중요하니깐요.
얼굴쪽 비례를 보면, 눈 한개가 얼굴의 약 1/9 차지하는 일본 만화체입니다. 홍채쪽을 보면 너무커서, 눈안에 완전하게 다 나타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제가 서서히 안 좋아하고 있는 비례이기도 합니다. 인형눈등이 얼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니깐, 그것에 연장되어 이런 만화체를 좋아하기도 했던게 아닐까 싶네요.
이젠 턱선을 봅시다. 오각형을 바탕으로 깔고 각부분을 적당하게 마모시킨겁니다. 이런 모양새는 좋게 말하면 깔끔하고 무난하지만, 나쁘게 말하면 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저런 얼굴형이 있는 그림체를 좋아합니다. 깔끔하고, 선이 뚜렷하니깐요.
그외 다른 캐릭터들을 보시려면 아래 아래 링크로
링크1
링크2
어떤 의미로는 화풍과 스타일이 크게 변하지 않는 일러스터로 볼수 있습니다. 가령 아래의 그림은 파랜드 택틱스1(1996년)을 유심히 봐두면,
2000년대 이후로 발매된 게임들속에서도 야마모토 카즈에씨의 일러스트를 추려내기 무난합니다. 다만, 전체적인 선의 느낌상 혼동할수 있습니다.
2000년대 이후로 발매된 게임들속에서도 야마모토 카즈에씨의 일러스트를 추려내기 무난합니다. 다만, 전체적인 선의 느낌상 혼동할수 있습니다.
'잡담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안의 패미컴 놀이 (0) | 2011.04.24 |
---|---|
기네스북이 선정한 ‘최고의 가정용 게임’ 50선 순위 (2) | 2011.04.16 |
젤다 시리즈 역대 판매량 (2) | 2011.04.05 |
드래곤퀘스트 시리즈 역대 판매량 (0) | 2011.04.05 |
환상의 주인공 원화이미지 찾아냈습니다. (0) | 2011.03.30 |